중국의 설날, 춘지에 春節
우리에게 설과 똑같은 명절을 중국은 '춘지에(春節)'이라고 부른다. 우리와 명칭이 조금 다른 이유는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 후 건립된 중화민국 정부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을 채용하면서 양력 1월 1일을 '新年' 또는 '元旦'으로 명명하고, 전통 명절인 음력 정월 초하루는 '춘절(春節)'로 불렀기 때문이며, 현재 중국 대륙이나 대만에서 모두 사용하고 있다.
한 해를 마감하고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로써 '꾸어 네엔'(過年)'이라고도 하는 春節 명절이다. 보통 음력 12월 이면 춘절의 들뜬 분위기가 점점 농후해지고, 전통 습관에 따라 음력 12월 8일에는 곡식의 풍성함을 기원하며 8가지 곡식으로 만든 라빠저우(臘八粥) 즉, 우리의 동지팥죽 같은 것을 먹는다. 이 랍팔죽은 쌀, 좁쌀, 쌀, 수수, 붉은 콩, 대추, 호도, 땅콩 등을 함께 끓여 만든 음식으로, 온갖 곡식이 다 들어있어 '오곡이 풍성하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또한 음력 12월 23일은 부엌에 '자오왕예(王神像-부엌신)'을 걸고 엿을 바친다. 이는 조왕신이 달짝지근하고 맛있는 엿을 먹은 후 하늘의 상제에게 보고할 때 그 집주인에 대해 좋은 얘기를 하여 줄 것이라는 발상에서 나온 것으로, 이것은 중국인들이 과거에 항상 말하던 "하늘이 좋은 일을 말하면, 집에 돌아와서 상 서러운 일을 내려준다(上天言好事, 回宮降吉祥)"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제석 (除夕)'이라 불리는 음력 12월 31일 밤에는 온 가족이 함께 '연야반(年夜飯)' 즉, 제야에 먹는 음식을 즐긴다. 연야반을 먹은 후에는 가족들이 모두 모여 앉아 담소하고, 바둑, 마작, 옛날이야기 등을 즐기며 밤을 새우기도 하는데, 이를 가리켜 '수세(守歲)'라 한다.
이윽고 밤 12시가 되면 집집마다 폭풍취우(暴風驟雨)처럼 일제히 폭죽을 터뜨린다. 고대의 사람들은 산귀신이 전염병을 퍼뜨린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대나무를 불에 태워서 산귀신을 쫓아내었다 한다. 그 까닭에 매년 연말이 되면 거리에는 곳곳에서 수많은 폭죽을 터뜨리며 모든 잡귀들이 물러날 것을 소망하였다. 중국인들이 흔히 말하는 '爆竹聲中舊歲除(폭죽소리 속에 지난 세월을 보낸다)'는 얼마나 폭죽을 터뜨리는 광경이 끊임없는가를 잘 나타내는 말이다.
춘절 아침 북방 사람들은 집집마다 '교자(餃子)' 즉, 만두를 먹는데 이를 '갱세교자(更歲交子)'라고 한다. 교자의 '餃'는 교체를 나타내는 '交'와 중국어 음이 같다. 따라서 餃子는 신구(新舊)가 교체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만두 속에 돈이나 사탕 혹은 땅콩 등을 넣어서 그것을 골라 먹는 사람에게 새해에 특별한 복이 올 것이라는 놀이를 하기도 한다.
남방 사람들은 '탕원(湯圓)'이나 '연고'를 먹는다. 연고의 발음이 '년고(年高)'와 같아서 새해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침 春節 음식을 먹고 난 후에는 식구 간에 절을 나누고 이웃이나 친지를 방문하는 배년(拜年-새해 인사)를 하고, 어린아이 혹은 손 아랫사람이 절을 할 때면 야수에 챈 (壓歲錢- 세뱃돈, 紅包 홍포 홍빠오라고도 한다)을 준다.
춘절 기간에는 축복하는 말이 쓰인 글귀 즉, '춘련(春聯)'을 대문의 양쪽에 붙이게 된다. 춘련은 붉은 바탕에 검은색, 또는 황금색으로 글씨를 쓴 것으로, 그 내용은 '세세평안일 연년여의춘(世世平安日, 年年如意春'-대대로 평안한 날, 해마다 뜻대로 봄) 등이다. ‘녠녠요위’는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새해 인사 중 하나다. 원래는‘새해에도 넉넉하시라(年年餘裕)’는 것인데, ‘새해에 생선을 얻으라(年年有魚)’로 대신 쓰는 관행도 오래전에 정착됐다. 생선, 특히 잉어는 중국에서 다산과 풍요, 돈과 부귀의 상징이다.
더불어 신춘(新春)과 관련된 '대련구(對聯句)'나 '문신상(門神像)' 혹은 '福'자 등을 문 앞에 붙이는데 관례적으로 붉은 종이에 먹 붓을 사용한다.
*펌글
'중국어 > 재미있는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돈이 많아서이다. (0) | 2015.08.21 |
---|---|
[스크랩] 장부 일언 중천금(丈夫一言重千金). (0) | 2015.08.10 |
[스크랩] 중국인이 꺼리는 선물 (0) | 2015.02.11 |
[스크랩] 제주도에 `푸이다이` 1000명 산다 (0) | 2015.02.07 |
[스크랩] 중국의술 (0) | 201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