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음악감상

청산은 나를보고

德川 2011. 2. 28. 22:06

 

노래-청산은 나를보고~삼진스님
 

 

청산은 나를 보고 / 노래-심진스님
 

사랑도 부질없어 미움도 부질없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탐욕도 벗어 버려 성냄도 벗어버려
하늘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벗어라 훨훨 벗어라 훨훨
사랑도 훨훨 미움도 훨훨
버려라 훨훨 벗어라 훨훨
탐욕도 훨훨 성냄도 훨훨훨훨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아하~강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 ~ ~ ~ ~ 

벗어라 훨훨 벗어라 훨훨
사랑도 훨훨 미움도 훨훨
버려라 훨훨 벗어라 훨훨
탐욕도 훨훨 성냄도 훨훨훨훨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아하~강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

공민왕의 왕사이며.고려 말기의 고승으로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 본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속성은 아(牙)씨인데 고려 말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고승 지공(指空)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절터가 있는데 경주의 황룡사 절터보다 규모가 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했고,
조선 태조 왕사로서 한양천도의 주요 인물인 무학대사는 그의 제자였다.
나옹, 지공, 무학, 세분의 부도와 비석이 회암사터의 뒤쪽에 현존하고 있는데,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 이색이 찬하여 지금도 비문이 남아있다.
그 출생지 부근에 장륙사라는 조그만 사찰이 있는데 고려 공민왕때 건물과 건물 내벽에 그의 초상화가 남아있습니다.
그가 입적한 남한강변 여주 신륵사에도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비문이 남아 있다.

서점에는 그의 가송집과 비문을 한글로 해석한 서적으로 나옹록이 있고 연구서도 있다.

 이 詩의 작자에 대해서는 나옹선사 이외에 중국 당나라의 寒山스님이라는 설과 작자 미상이라는 설이 있다.

'취미생활 > 음악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ggie  (0) 2011.03.04
매기의 추억  (0) 2011.03.04
사랑하는 그대에게/ 유심초  (0) 2011.02.27
봄의 노래 ( 멘델스존)   (0) 2011.02.27
My Way  (0) 2011.02.27